MY FRIEND HYOSUNG
그냥 손 놓고 기다릴 순 없어요. 버는 돈은 한정되어 있고, 은행 금리는 바닥을 친 지 오래, 통장에만 묵혀두자니 내 돈의 가치는 점점 줄어들게 뻔하거든요. 지금 10만 원이 10년 후에도 10만 원이라는 보장은 없잖아요. 그렇다고 부동산에 투자할 정도로 돈이 있는 것도 아니고요. 적은 금액으로도 투자라는 걸 할 수 있는 건 주식뿐이더라고요. 이제 막 주식 시장에 발을 들인 주린이(주식+어린이)라면 꼭 알아야 할 주식 용어를 정리해보았습니다.
-
주식 기초용어 12
보통 사람들이 '주식한다'고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 탈잉 했을 때 거래하는 주식은 코스피, 코스닥 시장의 주식입니다. 코스피(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국내종합주가지수)는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주식 시장 자체를 뜻하기도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 탈잉 하고, 주식 가격을 표시한 지수를 말하기도 하는데요, 대기업 등 우량한 주식이 거래되는 시장을 말합니다. 코스닥(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은 IT, 바이오, 엔터테인먼트 등 코스피보다 작은 중소, 벤처기업의 주식들이 주로 거래되는 시장을 말합니다.
시가 총액은 각 상장 종목의 상장 주식 수에 그때의 주가를 곱하여 산출합니다.
(시가총액 = 전체 주식 수 X 주가)
주식시장에서 매매된 주식의 수를 말하는데요, 거래량이 1,000주라고 하면 매도 1,000주, 매수량이 1,000주라는 의미가 됩니다. ‘거래량은 주가에 선행한다’는 유명한 말이 있어요. 거래량의 변화는 곧 주가에 영향을 준다는 이야기입니다. 당연한 진리 같지만, 다른 지표의 움직임에 빠져 거래량이란 지표가 주는 시그널을 간과하기 쉬워요.
거래된 주식의 가격과 거래량을 곱한 금액을 말합니다.
주식 시장은 아침 9시에 장을 열고, 오후 3시 30분에 마감합니다. 시가는 거래가 시작되는 9시에 최초로 체결된 거래 가격을 말하고, 종가는 장이 마감하는 3시 30분에 마지막으로 체결된 가격을 말합니다.
주식 거래를 위해 가격을 제시하는 것을 말합니다. 희망하는 가격, 즉 내가 팔거나 사고 싶은 가격에 주문을 넣어두는 것이죠.
일반적인 주문은 주문한 순서대로 거래가 체결됩니다. 하지만 동시에 주문이 몰리면 어떻게 될까요? 동시호가는 증권시장에서 동시에 접수된 호가나 시간의 선후가 분명하지 않은 호가라고 정의합니다. 정확히 같은 시간에 접수된 경우여야 동시호가라고 하는데요, 증권 매매가 1/1,000초 단위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흔히 일어나는 일은 아닙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 장 시작 직전과 마감 직전의 단일가 매매를 동시호가 매매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면, 장이 열리기 30분 전부터 주식 주문을 할 수 있어요. 8시 30분부터 9시까지의 주식 거래 주문을 모아 적절한 가격(동시호가, 또는 단일가)에 거래를 체결시키는 것이죠. 장 마감 10분 전의 주문들도 동일한 방식을 적용합니다. 이런 방식을 사용하는 이유는 갑작스러운 주문 폭주로 인해 주가가 왜곡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증권 시장에서 유가증권의 급격한 시세변동에 따른 시장 질서의 혼란을 방지하기 위해서 상하한폭을 제한하고 있어요. 가격제한폭이라고 하는데요, 기준가격대별 17단계의 정액제로 2.2~6.7%까지 지정되어 있었으나, 점차 변화하여 2015년 6월 15일 30%로 변경되었습니다. 그래서 우리가 흔히 말하는 상한가는 하루 중 주가 상승폭이 30%인 가격을, 반대로 하한가는 주식 하락폭이 30%인 가격을 말합니다.
보합(No Charge)
주가가 오르거나 내리지 않고 변동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특히 시세가 상승한 채로 하락하지 않고 보합인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 탈잉 상태를 강보합, 시세가 하락한 채 상승하지 않고 보합인 상태를 약보합이라고 합니다.
-
주식 거래 용어 12
주식 거래를 위해 증권 계좌에 입금한 투자 금액을 말합니다.
매수는 주식을 사는 행위, 매도는 주식을 파는 행위를 말합니다.
매도, 매수거래를 성립된 것을 말합니다.
주식을 사기 위한 매수주문 시점에 약정대금(체결된 수량에 가격을 곱한 금액)의 일정 비율(증거금률)의 금액이 먼저 인출되는데요, 이를 증거금이라고 합니다. 일종의 거래 보증금이라고 할 수 있어요. 증권 계좌를 개설할 때 증거금을 설정할 수 있는데요, 보통은 증거금률이 40%로 적용되어 있어요. 증거금률이 40%라는 이야기는 100만 원어치 주식을 살 때 40만 원만 가지고 있으면 거래가 성사된다는 뜻입니다. 나머지 60만 원은 이틀 후에 입금하면 되죠. 만약 주식을 이제 막 시작했다면 증거금률을 100%로 설정해두는 게 좋습니다.
증거금을 내고 난 나머지 금액을 완납하지 못해 발생한 대금을 말합니다. 즉, 증거금률 40%의 경우 거래대금 100만 원 중 증거금 40만 원을 내고, 나머지 60만 원을 내지 못했다면 미수금으로 처리되는 것이죠.
미수금이 발생하면 증권사는 손해를 보게 되겠죠. 이때 증권사는 손실을 만회하기 위해 고객의 동의 없이 다음 날 하한가로 해당 주식을 매도하게 되는데요, 이를 반대매매라고 합니다. 반대매매는 미수금 변제뿐 아니라 미상환 융자금을 상환(ex. 증권사에서 대출을 하여 투자한 후, 이 돈을 약정한 기간 내 갚지 않을 경우)하기 위해서 진행되기도 합니다.
반대매매 후 손실이 채워지지 않을 경우 고객의 계좌에서 증거금 부문을 압류합니다. 그래도 모자란다면 고객에게 돈을 내라고 독촉하게 되는데요, 이것이 바로 마진콜입니다.
관심 있는 회사의 주식을 검색해보면 회사 이름의 주식과 회사 이름 뒤에 ‘우’가 붙어 있는 주식 두 가지를 볼 수 있는데요, ‘우’가 붙지 않는 것이 보통주, 붙는 것이 우선주입니다. 두 주식의 차이는 아래와 같아요.
주식 기초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추천 대상
✔ 주식 입문자들을 위한 주식 강의
✔ 주식이 처음이라 어떤 것부터 해야 할지 모르는 분
✔ 짧은 기간에 주식의 기초를 다지고 싶은 분
✔ 주식에 대해서 배워보고 싶은 분들 누구나!!
📌비추천 대상
✔ 중간에 바쁘다고 공부하기 어려우신 분
✔ 중간에 스터디 취소하시는 분
✔ 종목 추천을 원하시는 분
- 네이버카페 돈맛재테크 운영(21년도 10월 기준 6200명)
- 공인재무설계사(AFPK)
2014년도부터 이라는 재테크 스터디와 강의, 그리고 실전 투자를 병행하고 있는 개인투자자입니다.
한결같이 근면하면 천하에 어려운 일은 없다. '최고'라 생각한 적은 단 한 번도 없습니다. 최고가 되기 위해 그저 하루하루 '최선'을 다하는, 여러분들과 똑같이 평범한 투자자입니다.
복잡한 것은 없습니다. 주식투자 관련해서 자주 이야기 드리는 메시지가 있습니다.
첫번째, Simple is the Best
많이 배울 것도, 배울 필요도 없는 것이 주식투자입니다. 누군가 어렵게 설명한다면 그것은 본인도 모른다는 뜻입니다.
두 번째. '주식은 쉽다. 내 마음이 어렵다'
주식강의를 많이 들어보신 분들은, 기법(기술)보다 심법(마인드)이 더 어렵다라는 것을 아실 겁니다. 기법은 물론 주식투자에 임하는 심법을 제대로 익힐 수 있는 기회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투자에선 홈런보다 롱런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자 그럼, 저와 함께 주식 월드로 입문해보시죠!
주식기초 A to Z는 주식의 기초, MTS/HTS활용법부터, 주식의 본질, 기초를 배웁니다.
어떤 무언가를 배울 때
그 처음이 중요합니다.
처음, 잘못된 방향으로 주식을 배워
잘못된 방향으로 노력을 하면 할수록 손실은 커집니다.
나의 기초를 잡아줄 주식PT!!
실시간 공부 소통방 + 오프라인 현장강의까지
1주차 : 투자의 본질/ 보통주와 우선주/ 주식 vs 상가/ 시세차익과 배당수익
2주차 : 주식투자 준비 / MTS/HTS 삼성증권 / 투자금 / 투자자의 길로 입문/ 투자시 절대하지 말아야할것
3주차 : 복기의 중요성/ 주식기초 (캔들, 거래량, 이평선 설명)
4주차 : 주식 차트 지지저항, 주식거래 시뮬레이션까지
1주차 :
- 투자에 대한 본질을 알아봅니다.
-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
투자의 본질/ 보통주와 우선주/ 주식 vs 상가/ 시세차익과 배당수익
투자를 시작하기전 본질에 대해 알아봅니다.
보통주와 우선주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봅니다.
주식과 상가 과연 어떤것에 투자해야할까요?
국내주식은 시세차익일까요? 배당차익일까요?
- 주식 vs 상가
- 시세차익 vs 배당수익
2주차
- 주식투자 준비하기
- MTS/HTS 설정하기 (삼성증권)
삼성증권 계좌 개설, 차트 셋팅
투자금 셋팅
투자자가 되기 위한 마음가짐
투자시 절대 하지 말아야 할것에 대해 공부합니다.
- 나의 투자금은?
- 투자시 절대하지 말아야할 것은?
3주차
- 복기의 중요성
- 주식기초 공부하기
주식투자에 있어서 꼭 해야할 복기
주식 차트 공부
캔들의 의미
거래량의 의미
이동평균선의 의미에 대해 알아봅니다.
캔들이란?
거래량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평선의 의미 이해하기
4주차
- 주식 기초 지지저항
- 주식거래 시뮬레이션
지지저항 의미, 지지저항 그어보기
관심종목 지지저항 연습
주식 거래시뮬레이션을 실행해봅니다.
- 그래도 실전매매다.
나와 딱 맞는 학습, 내 손안의 스마트러닝
- 주식 기초 개념을 파악함으로써 올바른 투자 전략을 세울 수 있다.
- 주식 투자가 처음인 분
- 투자만 하면 주가가 내려가는 분
- 안전하게 주식 투자하는 방법을 배우고 싶은 분
- 고수들의 주식투자 비법이 궁금한 분
- 초보자가 할 수 있는 투자 방법이 알고 싶은 분
No. | 콘텐츠명 | 학습시간 |
1 | 주식은 무엇인가? 주식 기초 개념 파악(1) - 주식의 역사와 주식상장 이유 알기 | 0:09:32 |
2 | 주식은 무엇인가? 주식 기초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 탈잉 개념 파악(2) - 주식초보가 돈을 잃는 이유 | 0:12:57 |
3 | 주식은 무엇인가? 주식 기초 개념 파악(3) - 주식계좌 개설 및 거래방법 | 0:07:07 |
4 | 가치투자 필수 3대 요소 PER,PBR,ROE(1) - 가치투자 vs 기술적분석 | 0:09:29 |
5 | 가치투자 필수 3대 요소 PER,PBR,ROE(2) - PER,PBR로 가치주 찾기 | 0:08:19 |
6 | 가치투자 필수 3대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 탈잉 요소 PER,PBR,ROE(3) - 저PBR,PER함정에 빠지지 말기 | 0:11:35 |
7 | 가치투자 필수 3대 요소 PER,PBR,ROE(4) - ROE로 성장주 찾기 | 0:09:01 |
8 | 보조지표로 활용하는 차트 보는 법(1) - 패턴분석, 이동평균선으로 투자타이밍 잡기 | 0:16:09 |
9 | 보조지표로 활용하는 차트 보는 법(2) - 이동평균선과 골든크로스 찾는 방법 | 0:05:15 |
10 | 투자 대가들의 투자 노하우(1)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 탈잉 - 주식으로 세계 2위가 된 워렌버핏 노하우 | 0:09:51 |
11 | 투자 대가들의 투자 노하우(2) - 연평균 29% 수익률을 기록한 피터린치 노하우 | 0:16:18 |
12 | 투자 대가들의 투자 노하우(3) - 140배 수익을 낸 역발상 투자가 코스톨라니의 노하우 | 0:13:32 |
13 | 주주로 가는 길 [좋은 종목 발굴하기](1) - 위험한 주식이 끌리는 이유 | 0:11:12 |
14 | 주주로 가는 길 [좋은 종목 발굴하기](2) - 안전한 기업인지 확인하는 방법 | 0:11:23 |
15 | 주주로 가는 길 [좋은 종목 발굴하기](3) - 손익계산서, 재무상태표, 현금흐름표로 알짜기업 확인하기 | 0:12:00 |
16 | 주주로 가는 길 [좋은 종목 발굴하기](4) - 부도가 나기 직전의 기업은 냄새를 풍긴다(위험신호) | 0:12:05 |
17 | 주주로 가는 길 [좋은 종목 발굴하기](5) - 얼마나 빠른 속도로 기업이 성장하는지 확인하기(성장지표) | 0:09:38 |
18 | 주주로 가는 길 [좋은 종목 발굴하기](6) - 분할매수 분할매도 노하우 | 0:12:23 |
19 | 주주로 가는 길 [좋은 종목 발굴하기](7) - 시황, 레포트로 기업전망 분석하기 | 0:08:47 |
20 | 주주로 가는 길 [좋은 종목 발굴하기](8) - 사업보고서를 통해 기업 알짜정보 분석하기 | 0:09:51 |
21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1) - 삼성전자는 어떻게 성공했을까 | 0:11:48 |
22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2) - 워렌버핏이 제일 좋아할만한 LG생활건강 | 0:08:07 |
23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3) - 주식으로 연10% 월세 받는 배당주 투자 | 0:11:07 |
24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4) - 1등에 투자하는 블루칩 투자 | 0:15:02 |
25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5) - 2등에 투자하는 옐로우칩 투자 | 0:12:17 |
26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6) - 생활주변에서 10배 오르는 주식을 찾는 방법 | 0:08:19 |
27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7) - 잃지 않고 10배를 먹는 역발상 투자방법 | 0:10:40 |
28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8) - ROE 30%를 넘는 기업에 투자하라 | 0:10:31 |
29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1 (9) - 이모작투자로 2배 수깅르 얻는 방법 | 0:14:06 |
30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1) - 주가가 떨어져도 수익을 내는 투자방법 | 0:13:01 |
31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2) - 사모펀드 따라하기로 고수익 내기 | 0:11:34 |
32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3) - 외국인 따라하기 절대로 하지 마라 | 0:08:05 |
33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4) - 금리와 유가를 보고 투자하기 | 0:11:59 |
34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5) - 유가에 울고 웃는 기업 | 0:11:09 |
35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6) - 전염병이 돌면 오르는 주식 | 0:09:50 |
36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7) - 환율에 따라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 탈잉 죽는 업종 vs 사는 업종 | 0:11:38 |
37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8) - 펀드투자 잘하는 방법 | 0:12:02 |
38 | 초보자를 위한 투자방법 전인구 리더 비법 대방출2 (9) - ETF투자 잘하는 방법 | 0:11:01 |
FamilySite
사업자등록번호: 214-88-55742 | 대표: 민승재
통신판매업 신고번호: 제2021-서울영등포-0523호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 60 여의도포스트타워 6층 (우. 07328)
Tel. 1566-3180 | Fax. 02-2183-3629 | E-mail. [email protected]
ⓒ 2022 ubob(유밥)은 (주)유밥의 기업교육용 스마트러닝 서비스 등록상표입니다.
ⓒ ubob Inc. All rights reserved.
나의 첫 주식공부 : 주식 기초공부는 주식투자용어 부터
우리는 돈을 모아서 투자를 해야 한다. 우리 부모님 세대와 확연히 다르다. 저축만으로는 살아갈 수 없는 이 시대에 투자를 위한 공부를 해야 한다. 뭐든 배우고 익혀야 써먹을 수 있듯이 주식공부도 마찬가지다. 투자금을 확보하였으면 이제 투자를 할 타이밍이다! 그런데 주식에 투자를 해야 하는데 주식이란 단어의 뜻도 모르고 무턱대고 할 수 없다. 주식투자용어를 배우고 주식기초를 배워야 한다.
주식이란
주식 - 사전적 의미의 주식은 주식회사의 자본을 구성하는 단위로 주식은 개별 기업의 지분, 소유권을 나타내는 증서로 기업의 소유권이라 볼 수 있다. 주식을 산다는 의미는 쪼개진 회사의 조각을 산다는 것과 같다.
주가(주식의) 가격은 어떻게 결정되나?
주가(주식의)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따라 좌우가 된다. 어느 회사의 주식을 매수(사는 행위)하는 사람들이 매도(파는 행위)하는 사람보다 많을수록 가격을 올라가며 반대일 경우에 가격은 내려간다. 이와 같이 주식시장의 수요와 공급은 각 회사의 주식이 올바른 가격에 도다를 수 있게 수렴한다. 하지만 주가의 변동이 있다는 점을 명심할 것.
매수 / 매도
매수는 주식을 사는 행위, 매도는 주식을 파는 행위로 가장 기본개념이니 자연스럽게 이해될 것이다.
주식 그래프를 표시하는 색으로는 매수는 빨간색으로 매도는 파란색을 사용한다.
주가
주식의 가격을 말한다. 예로 도레미회사의 1,000주의 주식이 개당 10,000원이라 하면 이 도레미 회사의 현재 주식의 가격은 1주당 10,000으로 책정되어 거래 가능하다.
이는 도레미회사의 주가는 1주당 10,000이다 라고 말할 수 있다.
상한가/ 하한가
상한가란 하루 장이 시작하여 주가가 가장 최대치까지 상승한 경우를 표현하여 말한 것이고, 반대의 경우의 하한가는 하루 장이 시작하여 주가가 가장 최저치까지 떨어져 하락한 경우를 말한다.
그런데 상한가와 하한가는 하루에 15%가 하루의 최대치이다. 그 이상 오르거나 떨어질 수 없다. 그 이상의 상황이 되면 주식 시작이 위험해지기 때문이다. 하루의 상한가와 하한가가 15% 이므로
다음날 다시 15%로 상승 혹은 하락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며칠간 연속으로 상, 하락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를 연상(연속 상한가)으로 부른다.
코스피/ 코스닥
코스피와 코스닥은 국내 증권시장을 부르는 말로서 기업별로 분류해 놓은 것이라 할 수 있다. 코스피 KOSPI, Korea Composite Stock Price Index, 국내 종합주가 지수의 경우 기업의 규모가 큰 대기업들이 많다. 반면 코스닥(KOSDAQ, Korea Securities Dealers Automated Quotation)은 기업의 규모가 작거나 벤처기업들이 코스닥에 속해 있다. 게임에 빗대어 설명하자면 코스피와 코스닥은 길드로 비유할 수 있다.
사업을 하고 있는 큰길드는 코스피에, 소규모 중소 벤처 길드는 코스닥에 포함되어 있다로 볼 수 있다.
시가 총액
사전적의미는 시가총액은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모든 상장 A to Z - 기초부터 실전까지 | 탈잉 주식을 시가로 평가한 금액을 말한다. 기가 총액은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주식규모의 총합을 말한다.
시가 총액의 계산 법
예를들어 도레미 회사의 주식수 10,000 주이고 시가(장 마감 가격)가 2,000원일 경우 주식수 10,000 x 시가 2,000원 이므로 도레미 회사의 시가총액은 20,000,000원이 되는 것이다.
시가총액이 중요한 이유는 주식시장의 규모가 어느 정도인지를 가늠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써 사용됩니다. 주식의 공부를 위해서는 가장 기초적인 공부 중 하나이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