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렉스(Bittrex) 리뷰
02:39 2019년 04월 11일 목요일
미국 뉴욕주 금융감독국(NYDFS)이 현지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Bittrex)가 신청한 비트라이선스(BitLicense)를 반려하고 60일 내로 뉴욕 주에서 모든 영업을 종료할 것을 명령했다고 로이터가 11일(현지 시간) 전했다. 이는 비트렉스의 자본금 보유량 및 자금세탁 방지책이 당국 조건에 부적격했다는 게 NYDFS의 설명이다. 이와 관련해 NYDFS는 "해당 거래소는 자율적으로 성실, 공정, 공평, 신중,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을 입증하지 못했다"고 전했다.
비트렉스 "NYDFS 결정에 이의 제기"
03:43 2019년 04월 11일 목요일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비트렉스(Bittrex)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이번 뉴욕주 금융감독국(NYDFS)의 결정에 매우 유감스럽고, 실망"이라며 "NYDFS의 조사 결과에 전적으로 이의를 제기한다"고 발표했다. 비트렉스는 "지난 2015년 8월 처음으로 비트라이센스를 신청한 뒤 본 거래소는 NYDFS와 협력해 문제를 해결하고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 위해 노력했다. 우선적으로 본 거래소는 NYDFS의 자금세탁 방지 및 규정 준수에 대한 주장에 전적으로 동의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해 비트렉스는 "지속적인 위험평가를 실시하고 있으며, 외부 법률 자문의 승인을 받고 있다. 또한 전체 직원들에게 자금세탁 방지 정책 및 프로세스 훈련을 실시하고 있으며, 북한 국적의 클라이언트 또한 없다"고 설명했다. 앞서 해당 거래소는 당국과 규제 조항에 대해 협의하려 했지만, 당국으로부터 협의가 불가하다고 거절된 바 있다.
어제 밤 ~ 현재까지, 이슈뉴스 시간순 정리.
美 SEC 의장 "SEC, 암호화폐 산업 주목하고 있다"
19:08 2019년 04월 10일 수요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텔레그래프에 따르면, 제이 클레이튼(Jay Clayton)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 의장이 지난 4월 8일 미국 워싱턴서 열린 SEC 스피크 컨퍼런스(SEC Speaks conference)에서 "SEC는 암호화폐 산업을 주목하고 있다"며 "SEC 산하 특별검사반 OCIE(Office of Compliance Inspection Capital Markets) 미디어 and Examinations)의 2019년 우선 검토 항목에 암호화폐가 포함됐다"고 밝혔다. 미국은 이러한 움직임을 통해 암호화폐, 증권 규제 등의 분야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부각시키고, 국가적인 차원에서는 더디지만 포괄적인 조치로 암호화폐의 공식 지위를 확립하고 있다는 게 해당 미디어의 설명이다.
모리셔스, STO 규제 가이드라인 발표
21:28 2019년 04월 10일 수요일
암호화폐 전문 미디어 코인데스크에 따르면, 모리셔스(Mauritius)의 금융위원회(FSC)가 8일(현지시간) 증권형 토큰 발행(STO) 규제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증권형 토큰이 2005년 발효된 증권법이 규정하는 증권으로 분류되고, 디지털 형식을 채택했다는 해석이다. 또한 해당 가이드라인은 "STO를 진행할 경우 FSC의 사전 승인이 필요하지만, 전문 투자자 또는 펀드를 대상으로 할 경우는 승인 절차가 면제된다"며 "증권형 토큰 거래 중개인은 증권법에 의거해 라이선스를 취득해야한다"고 밝혔다.
XRP 대규모 이체. 200억 원 규모
10:09 2019년 04월 11일 목요일
코인니스 마켓 모니터링에 따르면 오늘 오전 09시 20분 20초(한국시간) 리플 주소 'rKUy1Ew9VrA8YNm5ArgKup2E6iAwE1iMyC'에서 'rPfSrrKY97EihgZeAwqgR7g1tYzDDJoAys'로 5,000만 XRP(약 203.5억원 규모)가 이체됐다. 해당 트랜잭션의 ID는 '5B49FA8966DA5FE462D342F36BD194193ACFE17AA36CC89C581E5779C3EF5867'다. XRP는 현재 코인마켓캡 기준 0.38% 오른 0.351824 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IMF "암호화폐, 기존 은행 시스템 흔든다"
11:16 2019년 04월 11일 목요일
크리스틴 라가르드(Christine Lagarde) 국제통화기금(IMF) 총재가 10일(현지시간) CNBC와의 인터뷰에서 "암호화폐와 디지털 자산 등 분산원장 기술이 기존의 모든 금융 시스템을 흔들고(shaking)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와 관련해 "은행 산업의 혁신은 규제 감독이 따르기 마련이며, 이는 새로운 시스템의 신뢰와 안정성을 위한 것"이라고 덧붙였다.
TRX DApp 트론뱅크, 가짜 토큰 공격. 1.7억 BTT Capital Markets) 미디어 유출
11:18 2019년 04월 11일 목요일
블록체인 댑(dApp) 전문 데이터 제공 플랫폼 댑리뷰(DappReview)에 따르면, 트론(TRX, 시가총액 11위) 배당 관련 DApp 트론뱅크(TronBank)가 새벽 2시경 가짜 토큰 공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공격으로 1시간동안 총 1.7억 BTT가 유출됐다. 이와 관련해 댑리뷰는 "해커는 BTTx라는 가짜 토큰을 생성해 컨트랙트에 'invest' 함수를 가동시켰고, 컨트랙트는 발송자의 토큰ID가 BTT의 ID100200과 일치하지 않다는 것을 판단하지 못하고 해커에게 BTT를 지급했다"고 밝혔다. 트론뱅크의 BTT 투자 상품은 지난 10일 출시되었으며, 출시 3시간만에 약 2억개의 BTT 투자를 유치한 바 있다. 현재 트론뱅크의 개발자는 이와 관련해 어떠한 답변도 내놓지 않고, 홈페이지도 지속 운영하고 있는 상황이다.
中 중앙은행 "블록체인 표준 제정 준비중"
11:31 2019년 04월 11일 목요일
중국 관영매체 인민일보가 오늘(11일) 중국 중앙은행(인민은행) 부총재 판이페이(范一飞)의 기고문 '인민 중심의 금융 표준화 구축 추진'을 게시했다. 해당 기고문은 "중앙은행이 빅데이터, 블록체인, 오픈뱅킹 표준 제정을 위한 연구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월 판이페이는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연구에 드라이브를 걸고, 서비스 전환을 위해 개혁 강도를 높일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 기사는 2021년 04월 26일 07:50 더벨 유료페이지에 표출된 기사입니다.
코인원의 드라마틱한 실적 반등 배경엔 '카카오 코인'이 있다. 클레이(KLAY)와 클레이스왑프로토콜(KLAY Swap Protocol) 등 카카오가 발행한 코인들을 국내 메이저 거래소 중에서 유일하게 코인원에 상장돼 있다. 코인원은 카카오 코인의 거래 수요 폭증에 따른 수수료 수입을 크게 늘렸다.
23일 업계에 따르면 코인원은 지난해 매출 331억원, 영업이익 155억원을 Capital Markets) 미디어 기록했다. 2019년 매출 110억원, 영업손실 70억원과 비교하면 어닝서프라이즈에 가깝다.
수년간 이어진 적자를 단번에 흑자전환 시켰고 영업이익률은 50%에 육박하는 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지난해 49% 수준의 영업이익률을 거둔 두나무와 맞먹고 68%를 기록한 빗썸에 조금 뒤지는 수준이다. 빗썸과 두나무는 지난해 거래 규모 기준 국내 1,2위에 해당하는 거래소다. 코인원은 지난해 실적 반등으로 3위권 거래소로서의 입지를 다시 다졌다.
코인원의 실적 반등엔 일명 '카카오 코인'으로 불리는 클레이가 있다. 클레이는 코인원을 비롯해 지닥(GDAC), 비트렉스(Bittrex) 등 Capital Markets) 미디어 다수의 거래소에 상장돼 있다. 다만 실명계좌 확보 등 특금법 요건을 충족한 국내 메이저급 거래소 중에서 클레이가 상장돼 있는 곳은 코인원이 유일하다. 안정성이 높은 대형 거래소를 선호하는 국내 투자자 특성을 감안하면 코인원이 사실상 클레이 거래를 독점한 셈이다.
클레이는 카카오 자회사 '그라운드X'가 자체 블록체인 플랫폼 '클레이튼(Klaytn)'을 기반으로 발행한 코인이다. 활용 생태계와 인프라가 확보돼야 가치를 지니게 되는 암호화폐 특성상 국내 최대 규모의 플랫폼 생태계를 보유한 카카오가 자체 발행한 코인이라는 점이 부각되며 지난해 하반기부터 가치가 부각되기 시작했다.
지난해 7월까지 100원 초반대에 머물던 클레이 가격은 8월부터 급등을 시작했다. 8월말엔 970원까지 오르며 7~8배의 상승률을 보였다. 연말로 접어들며 500원 중반대로 조정을 받았다. 다만 카카오 코인이라는 신뢰도 덕에 거래량은 일정 수준 이상을 꾸준히 유지했다. 이는 코인원의 실적에 고스란히 반영됐다.
지난해말 기준 거래소의 회원이 위탁하여 코인원이 보관 중인 클레이 수량은 약 2억개다. 당시 Capital Markets) 미디어 적용된 단위당 가격 532.3원을 적용하면 총 1085억원 규모다. 코인원이 보관 중인 자산 목록 중 전 세계 시총 1,2위인 비트코인(BTC)과 이더리움(ETH)에 이어 세번째로 큰 Capital Markets) 미디어 규모다.
시총 기준 다른 대형 코인들이 많음에도 상장한 지 1년도 안된 클레이가 세번째 규모를 차지한 것은 그만큼 거래량이 폭증했다는 의미다. 아울러,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보관량이 전년대비 줄어들었다는 점을 감안하면 코인원 내에서 이뤄진 전체 거래량 중 클레이 거래양의 비중이 절대적이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다.
클레이를 통한 수익 증대는 올해 1분기에 더 가파르게 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분기에 클레이에 대한 수요가 사상 유례없는 수준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연말 기준 500원 초반대였던 클레이 가격은 지난 3월 5000원을 넘겼다. 150원 수준이었던 지난해 하반기와 비교하면 무려 30배 이상 올랐다. 코인 정보 앱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현재 기준 클레이의 24시간 거래량은 1억6400만달러(약 7조 2700억원)에 달한다.
코인원의 클레이 효과는 올해 클레이스왑프로토콜(KSP) 거래를 지원하면서 더 극대화됐다. KSP는 클레이튼 기반 토큰 교환 Capital Markets) 미디어 과정에 코인 유동성을 공급한 투자자들에 대해 보상으로 지급하는 토큰이다. 디파이 생태계를 구축하기 시작한 클레이에서 Capital Markets) 미디어 파생된 코인인 셈이다.
KSP는 클레이를 능가하는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 1월 500원부터 거래를 시작한 KSP 가격은 4월초 기준 10만원을 넘어섰다. 3개월만에 200배 수준의 가격상승을 이뤄냈다.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매수하기
대한민국의 암호화폐 거래소이며
증권플러스를 개발 및 운영하는 두나무가 해외 비트렉스(Bittrex)와 독점 제휴를 맺고 2017년 10월 암호화폐거래소 업비트를 출범시켰다. 현재는 비트렉스와의 제휴관계가 종료되었다.
한국에서 가장 많은 암호화폐를 거래할 수 있는 거래소이고 카카오톡 계정 연동이 가능하다.
2017년 10월 24일 오픈베타 서비스를 시작으로 개장했으며
업비트는 크게 원화(KRW),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테더(USDT)의 4개의 화폐들로 거래할 수 있는 각각의 시장이 있다.
참고로 USDT는 달러가 아니다. 흥미로운 점은 업비트에서 USDT를 판매하거나 입출금 지원을 하지않는데 시장은 열어두었다는 점이다.
깔끔한 UI와 국내에서 유일하게 여러 가지의 알트코인을 거래할 수 있는 거래소라는 장점이 부각되며, 두달만에 이용자들이 크게 늘어서 2017년에 세계 1위 거래소가 되었다.
원화 마켓은 업비트가 자체 운영하며, 비트코인, 이더리움, 테더마켓은 비트렉스 전산을 같이 사용하므로 비트렉스에서 거래하는 것과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신생 거래소에서 발생하는 문제인 거래량 부족을 해결하였다.
이렇다 할 공개된 API가 없었다가, Capital Markets) 미디어 2018년 6월 공개되었다.
이번주 코인 시장은 대체로 상승장인듯 하다
코인 거래 시작하기
먼저 구글플레이에서 업비트 어플을 다운받는다
첫화면은 아래 왼쪽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네번째 입출금 메뉴에 들어가서 원화를 클릭한다
그전에 케이뱅크와 연동되어 있어야 한다!
케이뱅크 계좌 잔액확인후
입금하기 -> 입금금액에 원하는 입금금액 입력한다(최소 5,000원이상)
케이뱅크 계좌에 잔액이 부족하면 입금실패가 뜬다
제대로 입금되었는지 입금확인을 한다
입금신청 확인시에 카카오페이에서 인증하고
다시 업비트 첫화면 거래소 메뉴에서 비트코인(or 원하는 코인)을 클릭한다
가상화폐/암호화폐 비트코인 (BTC/Bitcoin) 추천 거래소 [국내 해외 거래소 TOP 4]
가상화폐/암호화폐 비트코인 (BTC/Bitcoin) 추천 거래소 [국내 해외 거래소 TOP 4]
이번시간에는 국내외 암호화폐 거래소를 비교하며 가입할만한 추천 거래소를 한번 살펴볼껀데요. 지난 2017년 암호화폐 호황기를 거치면서 한국을 포함해 세계적으로도 크고 작은 수많은 거래소가 생겨나고 론치되어 왔습니다.
그 사이에 지난 2018년 코인체크 해킹사건과 같이 거래소의 관리부실로 크고 작은 해킹사건도 심심찮게 뉴스로 들리곤 했는데요. 이처럼 암호화폐 투자에 있어 안전한 거래소를 통한 투자는 선택이 아닌 필수라고 생각되어집니다. 본인의 소중한 암호화폐 자산을 안전하게 관리해줄수있는 거래소 선택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많고 많은 암호화폐 거래소들중에서 어떤 추천 거래소가 있는지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거래소 마다 특징 그리고 장점 단점이 있으므로 본인의 투자환경과 사용방법을 고려하여 선택하시는것이 중요합니다. 우선은 Capital Markets) 미디어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4곳과 해외 암호화폐 거래소 5군데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혹시 암호화폐 / 가상화폐 비트코인에대해 자세히 알고 싶으신분은 비트코인 (BTC) 이란? 특징, 시세, 전망 [초보자 가이드] 봐주시길 바라겠습니다.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