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MI 자본시장연구원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7월 2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카피 트레이딩의 장단점

카피 트레이딩 (CT)은 2005년에 트레이더가 자동화된 거래를 위해 설계된 특정 알고리즘을 복사하기 시작하면서 시작된 방법이다. 이 방법은 계속해서 탄력을 받고 있는 한편, 전문가들은 이 방법의 장단점을 구분하고 있다.

카피 트레이딩이란?

이 방법의 이름은 카피 트레이딩의 원칙을 설명해 준다. 이것이 바로 신규 트레이더가 다른 트레이더의 거래를 베끼는 것에 기초하고 있음을 쉽게 이해하는 이유이다. 이 방법의 유의사항은 무엇일까? 외환 시장은 여전히 가장 유망한 투자 상품 중 하나이다. 이 때문에 초보자들은 이윤 추구를 위해 해당 산업에 참여하게 된다.

외환 통계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보여준다.

신규 트레이더의 30% 이상(1년 미만)은 금융 시장이 너무 복잡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카피 트레이딩만이 이러한 거래자에게 효과적인 접근법이다.

카피 트레이딩 방법은 2020년에 500억 달러 이상의 이익을 창출했고, 이 숫자는 2025년에 800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카피 트레이딩은 무엇을 의미할까?

카피 트레이딩 방식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자신의 목표에 완전히 일치하는 전문 트레이더를 찾아 구독한다. 구독자 수, 거래 통계,이익, 리스크 레벨, 초기 투자 수익률과 기타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투자 예산을 정하라. 투자가 당신의 일상을 가로막아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얼만큼의 금액이 투자하기에 충분한지를 결정하라. 카피 트레이딩은 어떻게 시작해야 할까? 이는 모든 신규 트레이더가 묻는 질문이며, 전문가들은 몇몇 성공적인 트레이드를 쫓아갈 것을 권유한다. 투자 예산을 2~3명의 트레이더에게 나누는 것이 좋다.

선호하는 카피 트레이딩 메커니즘을 선택하라. 일부 트레이더는 시그널을 받으며 거래를 수동으로 열고 성사시킨다. 일부 다른 트레이더는 과정을 자동화하는 것을 선호한다. 반자동 모드도 사용할 수 있다.

결과가 기대치에 충족했을 때 더 많은 자금을 투자하라. 손실 시 다른 트레이더를 정해 쫓아간다.

카피 트레이딩의 장점 Top 5

이 방법은 신규 시장 참여자들에게 도움이 된다. 이제 막 시장에 진입했지만 경험이 없는 상황에서, 다른 트레이더의 거래를 베끼는 것은 KCMI 자본시장연구원 시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를 이해하는 완벽한 방법이다.

트레이더가 외환 시장의 메커니즘을 이해하지 못하고 손실을 봤을 때, 카피 트레이딩은 해당 상품으로 이익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카피 트레이딩 거래의 자동화된 과정은 특별한 소프트웨어에 의해 오더가 이루어지므로 트레이더의 시간을 절약해 준다. 이는 해당 방법이 수동형 투자 옵션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투자자들이 전문 트레이더의 통계, 전략 및 기타 측면을 분석하여 트레이더에게 자금을 의존할 준비가 되었는지 여부를 파악함에 따라 고급 리스크 관리가 이루어진다.

손실을 관리할 수 있다. 결과가 기대치를 충족하지 않았을 때, 다른 트레이더에게 관심을 돌리는 것은 쉬운 일이다.

카피 트레이딩의 주요 단점

사용자가 카피 트레이딩 방법을 자세히 살펴볼수록 KCMI 자본시장연구원 이점을 분명하고 매력적이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단점도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전문 트레이더들 또한 불운에 직면한다. 이것이 바로 당신의 보증금이 증발할 위험이 존재하는 이유이다.

수동 카피 트레이딩의 경우, 트레이더는 플랫폼에 24시간 쉬지 않고 접속해야 한다. 자동화된 메커니즘을 선호하는 경우 소프트웨어가 항상 온라인 상태여야 한다.

자본시장연구원

학력 1989년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졸 1993년 美 American University 경제학 석사 1996년 美 American University 경제학 박사 경력 선임연구위원(국제금융실장), 자본시장연구원, 2011.1~ Senior Economist, IMF(Asia Pacific Dept.), 2006.1~2009.1 부국장, 한국은행, 1989.1~2010.12 국제금융발전심의회 위원 (현) 기획재정부 정책성과평가위원 (현) 기획재정부 규제심사위원 (전) 국민연금 투자정책전문위원회 위원 (전) 국민건강보험기금 자산운영위원 (전) 고용노동부 고용산재기금 자산운영위원 (전) 예금보험기금 자산운영위원 (전) 기획재정부 기금운영평가위원 (전) 한국은행 외화자산운용 자문위원 (전) 신한은행 금융공학센터 경영자문위원 (전)

보고서 1

보고서 1

보고서 1

보고서 1

세미나 발표자료

관련 세미나 이미지

  • 발표자 선임연구위원 이승호

관련 세미나 이미지

  • 발표자 선임연구위원 이승호

관련 세미나 이미지

  • 발표자 선임연구위원 이승호

관련 세미나 이미지

  • 발표자 선임연구위원 이승호

1. 연구보고서

ㅇ 코로나19 이후 글로벌 환율의 변화 및 향후 전망, 이슈보고서 21-08, 자본시장연구원, 2021.5
ㅇ 글로벌 미달러화 자금조달시장의 변화 및 우리나라에 대한 영향 분석, 연구보고서 21-02, 자본시장연구원, 2021.1
ㅇ 남북한 화폐의 구매력 비교와 동ㆍ서독 화폐통합 사례의 시사점, 이슈보고서 19-16, 자본시장연구원, 2019.11
ㅇ 우리나라의 대외증권투자시 환헤지의 효과 및 영향 분석, 연구보고서 19-01, 자본시장연구원, 2019.1
ㅇ 최근 원화환율 수준에 대한 평가와 시사점, 이슈보고서 18-05, 자본시장연구원, 2018.5
ㅇ 중국의 외환부문 리스크 현황과 평가, 이슈보고서 17-02, 자본시장연구원, 2017.5
ㅇ 국내 금융권 자금흐름의 특징 및 변동요인 분석, 연구보고서 16-06, 자본시장연구원, 2016.12
ㅇ 양적완화 정책에 대한 고찰 및 시사점, 이슈보고서 16-01, 자본시장연구원, 2016.7
ㅇ 위안화 국제화 가능성 분석 및 국제금융질서변화에 관한 연구, 연구총서 15-05, 자본시장연 구원, 2015.12
ㅇ 우리나라 외환스왑시장의 불균형 및 환율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4.12
ㅇ 글로벌 유동성과 국제자본이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연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3.12
ㅇ 한국 외환시장의 변동성 : 원인과 대응, 이슈정책 13-05, 자본시장연구원, 2013.8
ㅇ 자본시장법과 외국환거래법의 비교 및 정합성 제고를 위한 과제, 조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2.11
ㅇ 글로벌 국부펀드 현황 및 시사점, 조사보고서, 자본시장연구원, 2012.5
ㅇ 우리나라의 외환보유액 현황 및 향후 과제, 한중정책연구시리즈, 자본시장연구원, 2011.1

2. 용역보고서

ㅇ 외환시장 전자거래 도입 현황 및 영향 분석, 기획재정부, 2020.12
ㅇ OECD 자본이동자유화 규약 개정 논의 대응방향 연구, 기획재정부, 2018.12
ㅇ 국민연금 외환 익스포저 통합 관리 방안, 국민연금공단, 2018.8
ㅇ OECD 자유화규약 및 자본이동관리조치 주요이슈 연구, 기획재정부, 2017.12
ㅇ 외환거래의 시장질서 유지를 위한 법체계 정비 방안,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2017.2
ㅇ OECD 자본이동자유화규약 개정 방향 연구,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2016.12
ㅇ 외환시장 선진화 방안, 기획재정부 국제금융정책국, 2014.7
ㅇ 아시아 태평양지역 금융협력 평가 및 과제, 기획재정부 국제금융협력국, 2013.3
ㅇ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 제고를 위한 정책과제, 기획재정부, 2011.12
ㅇ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국부펀드의 발전방향 연구, 기획재정부 국부운용과, 2011.9

3. 학술논문

ㅇ 미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 환율 영향 분석, 국제금융연구, 제6권 제2호, 2016.11
ㅇ 외환스왑시장의 불균형에 관한 분석 및 시사점,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14.8, Vol.16 No.4
ㅇ 서울외환시장에서의 거래량,환율변동성,매입매도스프레드 간의 정보흐름 분석, 금융연구, 한국금융연구원, 2006.12, 20권 2호
ㅇ 주문흐름과 원/달러환율 변동간의 관계 분석, 외환국제금융리뷰, 제6호, 한국은행, 2006.1
ㅇ 주요국의 환율정책 수행 및 개입비용 분담체계, 외환국제금융리뷰, 제5호, 한국은행, 2005.7
ㅇ 환율변동이 기업수익성에 미치는 영향 분석, 외환국제금융리뷰, 제3호, 한국은행, 2004.6
ㅇ 자유변동환율제도 이후 원/달러환율의 변동행태 분석, 외환국제금융리뷰, 제2호, 한국은행, 2003.12
ㅇ Deviation from Covered Interest Rate Parity in Korea, 대외경제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3 제1호
ㅇ 역외 NDF거래가 국내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분석, 외환국제금융리뷰, 제1호, 한국은행, 2003.5
ㅇ 환율변동효과의 비대칭성 분석, 대외경제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2 제1호
ㅇ The Causes of Currency Crises: Do Fundamentals Really Matter, 대외경제정책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2000 가을
ㅇ 외환위기를 전후한 금리,환율,자본이동 관계의 특성 분석, 대외경제정책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999 가을
ㅇ 외환시장개입의 환율안정효과, 국제경제연구, 제4권 제2호, 한국국제경제학회, 1998.8
ㅇ 외환시장의 안정성에 대한 평가, 조사부연구보고서 모음, 한국은행, 조사부, 1998.6
ㅇ 중기 화폐수요 예측모형의 개발, 경제분석, 제4권 제1호, 한국은행 금융경제연구소, 1998. I
ㅇ 금융자유화 및 개방화가 국내 금융효율성에 미친 영향, 국제경제연구, 제3권 제3호, 한국국제경제학회, 1997.12
ㅇ 금리,환율의 연관성과 자본이동성, 경제분석, 제3권 제3호, 한국은행 KCMI 자본시장연구원 금융경제연구소, 1997.8
ㅇ The Effects of Central Bank Intervention in Korea: by Exchange Rate System and Monetary Credibility, Ph.D. Dissertation, American University, Washington D.C., 1996

4. 컨퍼런스 발표

ㅇ 미 금리인상 이후 신흥국 환율의 변동요인 및 전망, 국제금융학회-자본시장연구원 공동세미나, 2016.4
ㅇ 향후 글로벌 리스크 KCMI 자본시장연구원 요인과 원화 환율에 대한 영향, 머니투데이 컨퍼런스, 2013.6
ㅇ 증권사의 외환관련업무 현황 및 확대 방향, 자본시장CEO포럼, 자본시장연구원, 2013.6
ㅇ 한국 외환시장의 변동성 : 원인과 대응전략, 자본시장연구원, 2013.5
ㅇ 우리나라의 해외투자 현황 및 국가투자전략 방향, 류성걸 위원실 공동 주최 : 국부전쟁시대 국가투자전력 어떻게 할 것인가?, 자본시장연구원, 2013.3
ㅇ 2013년 전망세미나: 외환 및 외화자금 시장, 2013 자본시장 및 금융산업 전망과 동향 세미나, 자본시장연구원, 2013.1
ㅇ APEC Financial Cooperation: Past and Future, International Financial Cooperation Round Table 2012 Jeju, Korea, 2012.12
ㅇ Capital Market Liberaization : Korea`s experience over two decades, 37th IOSCO Annual Conference, Workshop on Developing Institutional Investor Base, May 2012
ㅇ Korean Won Internationalization and Regional Cooperation, Post-crisis Restructure of International Financial System: The Role of Asia, Institute of Finance and Banking, Chinese Academy of Social Sciences, 2011.12
ㅇ Korea`s Foreign Exchange Reserves Management and Challenges, 위안화 국제화와 아시아금융협력 국제 컨퍼런스, 자본시장연구원, 2011.4

5. 신문논고 및 기고

ㅇ 한숨 돌릴새 없는 미 환율공세, 서울경제, 2017.4.16
ㅇ 최경환호의 순항 조건, 머니투데이, 2014.8.22
ㅇ 환율하락, 우려만 할 일인가?, 머니투데이, 2014.5.20
ㅇ 해외시장 공략으로 금융국제화 나서자, 머니투데이, 2014.2.27
ㅇ 환율변동성이 우리 경제에 도움이 되려면, 머니투데이, 2014.1.22
ㅇ 사상최대 경상흑자의 이면, 머니투데이, 2013.12.26
ㅇ 기축통화국의 특권과 책임, 머니투데이, 2013.11.28
ㅇ 잘 나가는 대외부문, 내수가 밀어줘야, 머니투데이, 2013.10.4
ㅇ 우리나라 외환 보유액 더 늘려야 하나, 한국경제, 2013.8.31
ㅇ 최근 신흥국 경제위기가 주는 교훈, 머니투데이, 2013.8.29
ㅇ 외환보유액 확충을 넘어 강한 외환시스템 구축을, 머니투데이, 2013. 7.31
ㅇ 국제금융시장 급변, 환위험 관리 강화를, 머니투데이, 2013.7.4
ㅇ 선진국 통화정책 변화와 경제위기, 머니투데이, 2013. 6.5
ㅇ 아베리스크 대응전략 세울 때, 매일경제, 2013.6.1
ㅇ 엔저의 파고를 다시 넘으며, 머니투데이, 2013.5.9
ㅇ 안정적인 국부자산 관리, 효율적인 해외투자로, 아주경제, 2013.3.20
ㅇ 토빈세 맞짱토론, 한국경제, 2012.11.17
ㅇ 외환시장에서 환율은 어떻게 결정되나요? 조선일보 경제기사야놀자, 2012.11.2
ㅇ 원화의 국제화를 위해, 동아일보, 2012.10.17
ㅇ 추가인하 기대감 벌써, 물가 가계부채가 변수, 중앙Sunday, 2012.7.15
ㅇ 환율제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장단점은 무엇인가요? 조선일보 경제기사야놀자, 2012.6.8
ㅇ 글로벌 금융안전망이란 무엇이며 왜 더 중요해졌나요? 조선일보 경제기사야놀자, 2012.3.23

6. 기타

ㅇ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의 의의, 영향 및 시사점,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21-03호, 자본시장연구원, 2021.2
ㅇ 홍콩 페그제 환율의 안정성과 금융허브 위상,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20-18호, 자본시장연구원, 2020.8
ㅇ 국내 증권사의 외화유동성 위기에 대한 평가와 과제,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20-16호, 자본시장연구원, 2020.7
ㅇ 2019년 글로벌 경제의 하방 리스크와 시사점,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8-25호, 자본시장연구원, 2018.12
ㅇ 인구 고령화에 따른 금융환경 변화와 자본시장의 과제,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8-18호, 자본시장연구원, 2018.9
ㅇ 환율이 수출 및 내수에 미친 영향에 대한 재고찰,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8-02호, 자본시장연구원, 2018.1
ㅇ 북한 리스크가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7-20호, 자본시장연구원, 2017.10
ㅇ 미달러화 강세의 영향과 지속가능성,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7-01호, 자본시장연구원, 2017.1
ㅇ 막대한 경상수지 흑자, 효율적인 대외투자로 이어져야,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2016-02호, 자본시장연구원, 2016.10
ㅇ 글로벌 경기침체 지속과 완화적 통화정책, 자본시장포커스 오피니언, 자본시장연구원 2016-11호, 2016.3
ㅇ 국제유가의 하락 원인 및 영향, 이슈분석, 자본시장리뷰 2016년 봄호, 자본시장연구원, 2016.2
ㅇ 미 금리인상 이후 신흥국 환율의 변동요인 및 전망, 이슈분석, 국제자본시장리뷰 2015 하반기호, 자본시장연구원, 2015.1
ㅇ 미 금리인상과 달러화 강세에 대한 소고, 자본시장 Weekly 2015-13호, 자본시장연구원,
ㅇ 최근 해외증권투자 확대 배경과 시사점, 자본시장 Weekly 2014-37호, 자본시장연구원,
ㅇ 최근 위안화 환율의 변동요인과 향후 전망, 중국 금융시장포커스, 2014년 여름호, 자본시장연구원
ㅇ 아베노믹스의 잠재적 리스크와 영향, 자본시장 Weekly 2014-6호, 자본시장연구원,
ㅇ 미 출구전략 논의의 영향과 향후 리스크, 자본시장 Weekly 2013-26호, 자본시장연구원, 2013.7
ㅇ 최근 美재무부의 환율보고서에 관한 소고, 자본시장 Weekly 2012-49호, 자본시장연구원, 2012.12
ㅇ 최근 우리나라 외채구조의 변화와 시사점, 자본시장 Weekly 2012-25호, 자본시장연구원, 2012.6
ㅇ 환율변동성과 외환거래량의 관계에 관한 분석, Perspective, 2012 Vol. 4. No. 1, 자본시장연구원, 2012.4
ㅇ 『환율의 이해와 예측』, 저자 이승호, 삶과지식, 2012.3
ㅇ 무역결제 활성화를 통한 원화의 국제적 활용도 제고, 자본시장 Weekly 2012-5호, 자본시장연구원, 2012.2
ㅇ 외환부문의 거시건전성 강화와 위기대응, 자본시장 Weekly 2011-32호, 자본시장연구원, 2011.8
ㅇ Determinants of Inflation in Mongolia, Selected Issue Paper, IMF Country Report 07/39, 2007.1
ㅇ The Bank of Mongolia’s Gold Operations, Selected Issue Paper, IMF Country Report 07/39, 2007.1

중국진출을 위한 홍콩 우회투자의 장단점

해외투자및영업활동을 할때 고려할 사항 몇가지를 꼽아본다면 법 행정절차의 유연성, 세무 회계 자금운용의 편리성, 합법적절세의 가능성, 업무의 간편성 등이 있을 것입니다. 홍콩은 이 모든 것을 만족하는 세계에서 유일한 자유무역 국제금융도시로 특히, 중국진출을 위한 전략적 요충지로 활용할 수 있습니다. 기업(사업)활동의 여건상 중국으로 직접투자보다는 홍콩에 기반을 두길 권장하며 그 사유를 아래와 같이 안내하오니 BIZMAP구상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2. 홍콩-중국상호연계시대외적장점

1) 홍콩-중국간신규조세조약체결에따른홍콩법인의혜택확대

04월 01일, 4번째새로운이중과세방지협정을체결하여홍콩투자자가중국에서취득한간접수익(배당이익, 이자수익, 로열티, 기술사용료등)이일정한조건에맞으면중국에서저율의원천징수의무를부담하거나면세를받을수있습니다. 이러한대우는중국의국내세법과비교하거나중국이체결한다른나라들과의이중과세방지협정과비교하더라도훨씬유리하다고볼수있습니다.

2) 홍콩-중국간자유무역협정체결에따른홍콩법인의혜택확대

홍콩과이중과세방지협정을체결한나라는 2016년 04월기준, 모두 31개국이며, 한국은제외(계류중)되지만, 중국은포함하고있습니다. 특히중국과홍콩은 CEPA(Closer Economic Partnership Arrangement, 경제협력동반자협정)를체결하여중국과홍콩간교역시무관세혜택, 서비스시장우선개방등을골자로하는우대를적용받습니다. 1,819개품목에대한무관세와 56개서비스영역(2016년 06월기준)에대한진출을허용하여다양한업종에개방혜택을주고있습니다.

3. 홍콩경유의 장점

1) 자유로운외환거래

2) 운영자율성보장

홍콩은한국과달리지주회사와관련된제한규정(공정거래법등)이없습니다. 자회사를편입할때발생하는거래세가중국등홍콩이외의국가라면부과되지않으며홍콩자회사도일반적으로인지세(Stamp Duty)만부과(0.2% + HK$ 5)하므로매우낮습니다.

3) 효율적자금운용

홍콩지주회사를통하여받은이익배당금을다른중국법인또는다른국가(동남아등)에대한투자재원으로활용하여투자의안정성을확보할수있습니다. 만약, 홍콩지주회사가없다면이익배당금은모두한국으로배당되고다시자금이필요한국가로재투자되어야하는번거로움이있습니다.

4) 자금조달용이

5) 출구전략수립용이

타중국법인과합자또는합작시홍콩모회사의지분을일부양도함으로써편리하고쉬운방법으로지분의이전이가능합니다. 또한, 중국자회사매각시직접매각보다홍콩모회사의지분을간접매각하는방법으로쉽고편리한철수(EXIT) 절차를밟을수있습니다.

농민신문

포토뉴스

환율을 이용한 재테크, 일명 ‘환테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미국 달러화의 약세가 지속되고 있는 데다 누구나 손쉽게 환테크에 도전할 수 있는 상품들이 다양하게 나와 있기 때문이다. 투자할 곳이 마땅치 않은 저금리시대, 그동안 전문가들의 영역으로 인식돼온 외환거래에 도전해보는 건 어떨까? 새로운 투자방법으로 떠오르고 있는 환테크에 대해 알아본다.

◆달러화 약세 지속…환테크 관심

환테크는 환율의 변동을 예측하고 그에 따라 자금을 운용해 수익을 얻는 것을 말한다. 즉 달러를 비롯한 외화의 환율이 하락할 때 외화를 사서 보유하고 있다가, 환율이 상승하면 외화를 되팔아 그 차익을 얻는 것이다.

예를 들어 1달러의 환율이 1000원일 때 10만원으로 100달러를 샀다고 하자. 그런데 한달 뒤 환율이 1200원으로 올라 100달러를 되판다면 12만원을 받게 된다. 한달 사이에 2만원의 환차익이 생긴 것이다.

환테크에서는 환율의 변동을 잘 예측해 적절한 시점에 사고파는 것이 중요하다. 그렇다면 최근 환율의 변동 상황은 어떨까?

원·달러 환율은 1월 평균 1182.2원에서 2월 1143.4원, 3월 1133.9원, 4월 1132.7원으로 떨어졌다. 3월15일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으로 KCMI 자본시장연구원 환율이 오를 것으로 예상됐지만 잠시 주춤하다 여전히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5월 들어서도 계속 1130원대에 머물고 있다.

이같은 달러화의 약세는 세계 경기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는 데다 미국의 트럼프 정부가 보호무역주의를 내세우며 약달러를 유도하는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이러한 추세는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문가들은 내다보고 있다.

김환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 연구원은 “통화정책의 불확실성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대내외적인 변수를 고려할 때 달러화 약세는 올 연말까지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달러화 약세가 지속되면서 외화예금은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많은 투자자들이 환율 상승을 기대하며 달러화 투자에 뛰어들고 있는 것이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거주자 외화예금 중 미국 달러화예금 잔액은 3월 말 현재 601억4000만달러로, 지난해 말 496억6000만달러보다 크게 증가했다.

◆외화예금으로 환차익에 이자까지

환테크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다. 달러나 엔화를 직접 사뒀다가 환율이 오를 때 되파는 KCMI 자본시장연구원 직접투자는 가장 손쉬운 방법이다. 그러나 달러화 현금을 갖고 있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직접투자가 부담스럽다면 금융상품을 이용하는 간접투자에 도전해보자. 환차익에 이자까지 받을 수 있는 외화예금은 KCMI 자본시장연구원 가장 손쉽고 안전한 방법이다. 은행별로 차이가 있지만, 입출식 외화예금은 연 0.1%, 외화정기예금은 연 1% 수준의 이자를 지급한다. 외화예금은 일반 예·적금처럼 환차익을 포함해 5000만원까지 예금자보호를 받을 수 있다. 또 환율 변동에 따라 발생한 환차익에는 세금이 붙지 않는 것도 장점이다. 단, 외화예금은 원화를 외화로 바꿔 입금해야 하기 때문에 환전수수료가 발생한다.

환테크는 환율의 변동 상황을 살펴보면서 장기간 투자해야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환율이 낮다고 외화를 한꺼번에 샀다가 환율이 더 내려가면 낭패를 볼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금액을 조금씩 분산투자하거나, 매월 일정액을 적립식으로 꾸준히 투자하면서 묻어두는 것도 한 방법이다.

◆손쉽게 도전하는 스마트폰 환테크

최근에는 컴퓨터나 스마트폰으로 누구나 쉽게 환테크를 할 수 있는 서비스도 속속 나오고 있다.

KB국민은행의 외화투자 전문 플랫폼인 ‘KB마이딜링룸’이 대표적이다. 이는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실시간 환율과 주요 지수 KCMI 자본시장연구원 차트, 통화별 변동성 등 외환시장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다. 또 ‘KB환율픽(Pick)’을 이용하면 고객이 직접 시장가 환율로 환전을 하거나 원하는 환율에 매매 주문도 할 수 있다.

우리은행도 모바일 전용 외화통장인 ‘위비 외화클립’을 최근 출시했다. 모바일을 통해 외화 매매와 적립이 가능하며, 1일 100만원 이하까지는 공인인증서 없이도 외화 매매를 할 수 있다.

신한은행 써니뱅크의 ‘모바일금고’를 이용하면 별도의 외화예금 계좌를 만들지 않아도 환율이 낮을 때 수시로 환전해 보관하고 필요할 때 수령하거나 원하는 환율에 되팔 수 있다. 또 예약환전 기능을 활용하면 원하는 환율을 지정해 놓거나 최저 환율을 설정해 일일이 환율을 확인하지 않고도 필요한 시점에 자동 환전할 수 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