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주식
요즘 주변에 해외주식에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데, 과연 해외 주식은 수익성도 좋고 변동성이 크지 않아 안전할까? 해외 주식과 국내 주식에 투자하기 전 알아야 할 포인트들.
기사 내용
Q. 유튜브 보면서 주식 공부를 하고 있는데요. 요즘 미국 주식을 추천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돈이 모일 때마다 1주씩 매수해볼까 하는데, 미국 주식 초보가 알아야 할 주의점이 있을까요?
미국 주식투자, 크게는 해외 주식투자에 대한 주의점을 궁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그런데 해외 주식투자도 결국 주식투자이니까 일반적인 주식투자에 대한 원칙이나 테크닉, 그리고 유의사항 등은 모두 공통적으로 적용됩니다. 다만, 해외주식이라 특별히 신경쓸 부분이 있죠.
첫째, 환율입니다. 즉 해당국 통화가치 변동에 대해 반드시 고려해야합니다. 가령 구글(알파벳) 주식에 투자할 때, 미 달러화가 계속 강세라면 환차익을 얻는 것이지만, 반대로 달러가 추세적 약세를 보인다면 환차손이 발생합니다. ‘극단적인 예로’ 주가는 올라서 수익이 발생해도 환차손 때문에 전체는 손실이 발생할 수도 있죠. 그래서 해외펀드 같은 경우에는 환헷지*를 걸어 환율 변동 부분을 중립적으로 만들기도 하지만, 개인 직접투자에는 힘든 부분이 있습니다. 또한 환율은 내가 투자하는 시점에, 해당국 통화로 바꿀 때도 적용됩니다. 따라서 한 푼이라도 아끼려면 환율 우대를 해주는 증권사를 고르는 것도 필요합니다.
둘째, 세금입니다. 해외주식 투자 경우 연간 실현한 총 수익에서 총 손실을 뺀 순이익에서 250만원을 공제한 금액에 대해 22%가 과세됩니다. 분리과세이기에 종합소득신고 대상자들에겐 해외주식이 절세에 유리할 수 있겠지만, 결국 수익을 내는 것이 중요하겠죠?
셋째는 시차(타이밍)와 정보입니다. 해외주식 투자 경우 주가 자체의 변동성 뿐 아니라 실시간으로 접근하기 힘든 경우도 많습니다. 중국주식이라면 그래도 시차가 크지 않지만 미국 주식 경우에는 밤 세워 대응해야 하기에 일상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죠. 또한, 정보의 비대칭성도 있습니다. 물론 요즘엔 sns도 발달하고 증권사들이 해외주식투자 유치에 열을 올리면서 정보공급도 풍성해졌지만 그래도 국내주식 만큼은 아닙니다.
끝으로 다시 한 번 말씀드리지만 해외주식이라고 해서 별천지가 있는 게 아닙니다. 기본적으로 ‘주식투자’에 미국 주식 필요한 학습과 훈련, 매매원칙 등은 동일하게 적용된다는 점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Q. 해외 선진시장에 비해 국내 ETF 규모는 미미한 편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혹시 하반기 ETF 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그리고 구체적으로 어떤 ETF 상품이 인기가 많나요?
상장지수펀드(ETF) 시장은 선진증시에서는 성숙할 만큼 커졌습니다. 국내에서도 코로나19 충격 이후 개인투자자들이 몰리면서 급속도로 커지고 있고요. 선진증시의 흐름을 볼 때 국내 ETF 시장은 앞으로도 더 많이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독자님은 ‘어떤 ETF가 인기가 미국 주식 많을까’를 궁금해하셨는데요. 이것보다는 ETF의 신뢰도가 훨씬 중요합니다. 즉 향후 증시가 급락할 것 같아 인버스ETF를 가입했는데 시장이 10%로 하락해도 이 상품이 9.5%만 오른다면 알고도 당하는 것이죠.
그래서 ETF는 첫째 괴리율(지표가치와 시장가격 간 차이)이 중요합니다. 괴리율은 HTS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요. 가령 ‘A 코스닥150 ETF’의 괴리율이 –1.04%라면 이건 1% 만큼 싸게 거래된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싸게 살 수 있다는 거니까, 비싸게 사는 것보다 투자에 유리합니다. (그래도 코스닥이 폭락하면 손해입니다.)
둘째 거래량을 봐야합니다. 일일 거래량이 3억원 정도인데, 여기에 내 돈 2억원을 투자하면 유동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셋째, 섹터 ETF 경우 편입자산이 뭔지 확인해야 하고 실물자산 ETF라면 추종지수가 뭔지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반도체ETF, 소비재ETF 등 이름은 멋있지만 그 속을 봐야한다는 뜻이죠.
마지막으로 ETF도 자산배분이 정말 중요합니다. ‘쪼개고 또 쪼개라’는 원칙은 ETF에서도 중요하니까 국내/해외, 코스피/코스닥, 선진증시/이머징 등 쪼개서 미국 주식 투자하시고 3개월마다 결과를 보고 리밸런싱(포트폴리오 비중교체)을 하시길 권합니다.
Premium Contents
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오늘 콘텐츠의 주제는 경기 침체입니다. 바로 어제, 2022년 7/13 한국 시각으로 21:30에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발표되었는데 9.1%라는 경이적인 수치가 나왔습니다. 8.8%나 8.9% 정도를 예측했던 시장참여자들은 엄청난 충격을 받았겠지요. 그런데. 놀랍게도 나스닥 선물과 나스닥 지수는 발표가 나오자마자 급락했다가 이내 빠른 속도로 전일 수준의 주
막간을 틈탄 공지 하나 드립니다. 저희 의 타르가 사장님이 오늘 16:30 이베스트투자증권 유튜브 "이리온"에 출연해서, 윤지호 센터장님과 약 1시간 30분 동안 AI의 미래에 대해서 심도있는 대담을 나누었습니다! 라이브에 참여해 주신 모든 분들께 감사드리며, 녹화본은 위 링크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카레라입니다. 오늘 콘텐츠의 주제는 다름아
안녕하세요,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미국주식 분야 1위, "미국주식 사관학교"에 대해 소개하는 페이지입니다. 이 프리미엄 콘텐츠는 열심히 사회의 최전선에서 구르고 있는 미제 자본주의의 선봉대 두 명이 운영하고 있습니다. 저희의 목표는 딱 하나입니다. 뭐냐구요? 아주 간단한 목표죠? 그러면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리가 뭘 할 수 있는가? 그리고 "미국주식 사관학교"
Search Results for 미국주식な 【카톡:Ga486】 미국주식♟미국주식❋미국주식 미국주식✁미국주식
Help us make our Exposition Park museum, and our L.A. community, a place where everyone can discover nature, science, and culture.
900 Exposition Blvd., Los Angeles, CA 90007
Follow Us
Stay up to Date
The Natural History Museum is part of the Natural History Museums of Los Angeles County
Menu Navigation Tips
The following menu has 2 levels. Use left and right arrow keys to navigate between menus. Use up and down arrow keys to explore within a submenu. Use enter to activate. Within a submenu, use escape to move to top level menu parent. From top level menus, use escape to exit the menu.
미국 주식
투자 공부는 내 돈이 들어가 있느냐, 아니냐에 따라 효능감의 차이가 꽤 커요.
소액이라도 내 돈이 걸려있으면 시장의 흐름을 더 직접적으로 느낄 수 있거든요. 기업과 섹터에 대한 공부와 함께 실전 투자를 병행해야 하는 이유죠.
오늘은 미국 주식 실전 투자를 위한 가이드를 담았습니다. 실전 투자에 참고해보세요!
미국 주식,
이것부터 준비하세요
미국 주식 거래는 ① 계좌 개설, ② 해외 주식 거래 신청, ③ 원화 입금, ④ 달러 환전, ⑤ 매매로 진행됩니다.
먼저 국내 증권사에서 계좌를 만들고, 해외 주식 거래를 신청해야 돼요.
이때 어떤 증권사를 선택하는지에 따라 수수료나 환전으로 나가는 ‘비용’이 달라지는데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이 영상을 참고해보세요.
미국 주식은 국내 주식과 다르게 달러로 투자해야 합니다. 달러를 가지고 있다면, 증권사에 직접 입금해서 거래할 수 미국 주식 있습니다.
달러가 없다면, 은행 영업시간과 동일한 시간대에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환전 서비스를 이용하면 돼요.
달러 환율은 다양한 경제요인에 영향을 받습니다. 요즘은 미국 10년 국채 금리 상승에 따라 달러가 강세를 보이죠.
반대로 주가는 금리 상승으로 인해 약세를 보이고 있어요.
달러가 약세일 때, 미리 환전해두었다면 어땠을까요?
지금 같은 상황에서 같은 돈으로 더 많은 주식을 매수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주가도 진정된 상태니까 보다 저렴하게 주식을 담을 수 있겠죠.
딱 좋은 타이밍에
매수하는 방법
그렇다면 주식은 언제 사고, 언제 팔아야 할까요?
쌀 때 사서 비쌀 때 팔아야 한다는 건 너무나도 당연한 이야기지만, 정확히 언제 매수해야 하는지는 아무도 예측할 수 없습니다.
대신 매수 타이밍을 잡는 데 힌트가 되는 지표는 있습니다.
몇 가지 매매 기준이 되는 지표와 함께 언제 주식을 미국 주식 사고팔아야 하는지 이야기해볼게요.
첫 번째, 기계적 매수(DCA)
‘DCA’는 Dollar Cost Averaging의 약자입니다. 특정 투자종목을 적립식으로 투자하는 ‘적립식 분할매수’를 뜻하죠.
매수 타이밍에 신경을 덜 쓰면서 투자하고 싶거나 꾸준히 적립식 투자로 주식을 모으는 분에게 추천하는 방법이에요.
DCA는 적금처럼 매달 주식 매수에 사용되는 투자금을 지정해놓을 수 있습니다.
매달 20만 원을 계속 투자하는 경우, 주식이 2만 원 하는 호경기에는 10주를 살 수 있고, 1만 원 하는 불경기에는 20주를 살 수 있어요.
DCA를 활용하면 효과적으로 예산을 세울 수 있고, 최적의 마켓타이밍을 잡기 위한 시간과 노력을 조금이나마 줄일 수 있어요. 기회비용을 아낄 수 있다는 거죠.
이것도 언제 시작하는 게 좋을까 궁금하신 분들 계실 텐데요.
긴 호흡으로 봤을 때, 주식시장에는 상승장과 하락장이 번갈아 오기 때문에 어느 시점에 적용해도 효과가 있는 편입니다.
두 번째, 전고점(52주 최고가) 활용하기
전고점은 해당 주식이 기록했던 최고가를 의미합니다. 52주 최고가는 1년 중 해당 기업의 주식이 기록한 최고가를 뜻해요.
미국 주식의 경우, 우량주의 차트를 보면 꾸준히 상승하는 그래프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매일 오르기만 하는 주식은 없죠. 주가마다 굴곡이 있습니다.
‘전고점 활용하기’는 바로 그 굴곡을 활용한 방법이에요. 전고점에서 10%, 20%, 30%씩 하락할 때마다 분할매수를 진행하는 거예요.
내가 원하는 가격이 언제 올지도 모르고, 그 가격이 오더라도 타이밍을 맞추지 못할 수도 있어요. 그럴 때, 전고점을 매수 기준으로 활용하면 도움이 됩니다.
세 번째, 배당수익률 활용하기
배당주에 대해 소개하면서 ‘배당수익률’을 활용한 매수 전략을 짧게 다룬 적이 있었죠.
배당수익률은 현재 주가 대비 배당금의 비율을 뜻합니다.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어요.
배당수익률 = 배당금 / 현재 주가 X100
2019년 이전 엑손모빌의 연평균 배당수익률은 2~4%대였습니다.
2019년 이후를 살펴보면 코로나19 여파로 연평균 배당수익률이 2020년에 8.12%까지 올랐고, 최고치는 11.07%를 기록했네요.
배당주 투자의 경우, 평소보다 배당수익률이 높은 수치를 보일 때 주식을 매수하면 보다 높은 배당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반대로 미국 주식 배당수익률이 평소보다 낮다면 주가가 고평가된 상태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매도를 할 타이밍이겠죠.
네 번째, 이동평균선 활용하기
일정 기간 주가를 산술 평균한 값으로 연결한 선을 ‘이동평균선(이평선)’이라고 부릅니다.
단기간 주가의 흐름을 보여주는 단기이평선(5일, 20일), 중기(60일)와 장기(120일)이평선이 있어요.
이평선 역시 매수 타이밍을 잡을 때 활용할 수 있습니다. 나스닥을 추종하는 미국 대표 ETF인 ‘QQQ’로 예를 들어볼게요.
QQQ의 일봉차트입니다. 봉차트 아래 여러 색의 실선이 이동평균선이랍니다.
차트 왼쪽 위에 이동평균선의 범례가 나와 있어서 각각 뭘 의미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대부분의 우량주는 QQQ처럼 장기이평선 위에 중기이평선, 그 위에 단기이평선이 위치합니다.
차트를 보면 2020년 3월 23일, 하락장에서 봉차트가 장기이평선(120일선)을 뚫고 아래로 내려왔습니다.
그러다가 다시 회복해서 우상향하는 모습을 보이죠. 비교적 최근에도 봉차트가 장기이평선 아래로 내려갔다 온 적이 있었네요.
이렇게 장기이평선을 깨고 내려와 시장이 조정을 받을 때마다 매수하면 보다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습니다.
특히 시장을 주도하는 주식의 경우, 매수 타이밍을 기다리는 투자자가 많기 때문에 이평선이 움직일 때마다 매수세가 몰리는 편입니다.
그래서 조정을 받더라도 회복 속도가 빠른 편이에요.
매도하기
좋은 타이밍은?
DIA, QQQ, SPY는 미국 주식시장의 3대 지수를 추종하는 대표 ETF입니다. 이 셋의 또 다른 공통점은 ‘주가 하락은 짧고 상승은 길다’라는 점이에요.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