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거래 수수료 설정
Zipline은 수수료를 따로 설정하지 않으면 기본값으로 주당 0.03달러를 사용합니다. 코스피의 GS 종목을 매 거래일마다 한 주씩 매수하면서 거래 수수료가 어떻게 계산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다음 코드를 PyCharm에서 실행해 백테스팅을 수행합니다.
실행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위 결과를 참조하면 2016-01-05일에 종목 매수가 이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6-01-05일의 ending_cash 값이 50399인 것은 100,000원에서 해당일의 종가인 49,600원을 빼고 다시 기본 거래 설정 수수료인 0.03원을 뺐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한 가지 주의해야 할 점은 Zipline 모듈은 기본적으로 달러를 기준으로 동작하는데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은 원 단위라는 점입니다. 이 문제를 가장 쉽게 해결하려면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의 데이터를 사용하는 경우 Zipline 모듈의 거래 설정 값도 원 단위로 간주하면 됩니다.
Zipline에서 거래 수수료를 설정하려면 set_comminsion 메서드를 initialize 메서드에서 호출하면 됩니다. Zipline은 PerTrade, PerShare, PerDollar라는 세 종류의 commission 모델을 제공합니다. PerTrade는 거래를 할 때 거래 금액과는 상관없이 일정 수수료를 지급하는 모델입니다. PerShare는 주당 정해진 금액의 수수료를 지급하는 모델입니다. PerDollar는 달러당 일정 수수료를 내는 모델입니다.
유가증권시장/코스닥시장에서는 주식을 매수할 때는 세금을 내지 않지만 매도 시에는 매도 금액의 0.3%에 해당하는 금액인 주식거래세를 내야 합니다. 여기에 추가로 약 0.015% 정도의 증권사 수수료가 매수와 매도 시점에서 모두 발생합니다. 아직까지는 zipline에서 유가증권/코스닥 시장과 정확히 일치하는 수수료 모델을 만들기는 어렵지만 총 0.33%의 부대 비용이 발생하는 것을 매수/매도 시점에 나눠서 0.165%씩 설정하면 그나마 비슷하게 설정할 수 있습니다.
수수료 설정에 사용되는 함수나 모듈을 임포트합니다.
앞서 설명한 것처럼 initialize 함수에서 set_commission 메서드를 호출해 수수료를 설정합니다. 0.165%이므로 1원을 기준으로 하면 0.00165원이 수수료입니다. PerDollar는 원래는 달러를 기준으로 수수료를 설정하는 것이지만 우리는 원 단위로 생각하면 되기 때문에 1원에 대한 수수료로 간주하면 됩니다.
수정된 코드로 다시 백테스팅을 수행합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백테스팅 결과를 확인해보면 우리가 의도했던 수수료가 설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초기 투자 금액인 100,000원에서 주식 한 주당 금액인 49,600원을 빼면 50,400원입니다. 여기서 수수료 81.84원(=49,600x0.00165)을 빼면 50318.16원이 남게 됩니다.
금전거래 후 채무자가 왠지 모르게 돈을 잘 갚지 않으려는 태도를 보인다거나 그의 재정상태가 나빠질 위험성이 보이는 경우에는 지금이라도 담보를 받아두겠다고 생각을 할 수가 있는데, 담보를 설정 받아두는 것이 무조건 좋은 것만을 아닐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 뒤늦게 채권자에게 골칫거리를 안겨다 줄 수도 있으므로 이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담보권을 설정 받아두는 경우의 장점
담보권은 일정한 채무를 이행해야 하는 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채권자가 담보를 통해서 채권에 만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권리이며, 담보권이 설정되어 있으면 만약 채무자가 채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담보물을 처분해서 자신의 채권에 충당시킬 수가 있다.
본래 채권을 강제로 회수하기 위해서는 판결이나 판결과 동일한 효력을 통해 집행권원을 취득한 후 채무자의 재산을 처분하는 것이 가능하지만, 담보물권을 설정해 놓은 재산에서만큼은 이러한 집행권원 취득절차 없이도 처분을 해서 채권에 충당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또한 담보물권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보다는 채무자가 변제에 대한 부담감을 더 느끼고 신경을 쓸 수밖에 없으며 만약 담보에 제공한 것이 재산적 가치가 높다면 더욱 그러할 것이다.
담보권을 설정 받는 경우 문제가 될 수 있는 상황(사해행위)
그런데 채무자로부터 담보를 설정 받은 것이 훗날 오히려 채권자의 머리를 아프게 하는 상황이 벌어질 수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채무자가 이미 채무초과인 상태 즉, 다른 채권자들에 대해서도 채무를 지고 있는 상태에서 자신의 재산에 비해 많은 채무가 발생하고 있는 상태인 경우 일부의 채권자에게만 담보를 제공한 경우이다.
이는 사해행위가 될 수 있다. 사해행위란 채무자가 고의로 자신의 책임재산을 은닉시켜서 채권자가 충분하게 변제를 받기 어렵게 하는 행위를 말한다.
만약 사해행위가 인정되는 경우 채무자의 다른 채권자는 담보를 제공받은 자신에 대하여(수익자나 전득자) 채권자취소권을 행사하는 사해행위취소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사해행위가 인정되는 경우 담보를 제공받은 자신은 그 재산을 원상회복시켜주거나 가액반환을 해야 한다.
이후에는 담보를 제공받았던 자신만을 위한 책임재산이 아닌 자신과 다른 채권자들 모두의 채권을 위한 책임재산으로 남겨진다.
그런데 대법원 판례는 이미 채무초과의 상태에 빠져 있는 채무자가 그의 유일한 재산인 부동산을 채권자 중의 어느 한 사람에게 채권담보로 제공하는 행위는 다른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다른 채권자들에 대한 관계에서 채권자취소권의 대상이 되는 사해행위가 된다고 봄이 상당하고, 이는 이미 채무초과의 상태에 빠져 있는 채무자가 그의 유일한 재산인 채권을 채권자 중의 어느 한 사람에게 채권담보로 제공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대법원 2007. 2. 23. 선고 2006다47301 판결)거래 설정 거래 설정 라고 판단하였다.
따라서 자신은 다른 채권자들의 이익을 침해한다는 사실이나 채무자가 이러한 사실을 알면서도 자신에게만 유일한 재산을 담보로 제공한다는 사실을 몰랐다고 해도, 어느 날 갑자기 사해행위취소소송의 피고가 되어서 원상회복이나 가액반환을 청구당하는 상황에 처할 수가 있다.
이 경우 원상회복이나 가액반환을 해주는 일을 피하기 위해서는 담보를 제공받은 자신은 그러한 사실을 알고 있었다는 ‘악의’가 아니었다는 사실을 입증해야만 하는데 이것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물론 사해행위가 인정되어 취소가 되었다고 해도 채권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며, 채무자의 채무초과 상태와 사해의사 등을 확실하게 알 수 있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혹시라도 모를 이러한 사태에 대비하여 담보제공을 받는 경우에는 채무자로부터 현재의 타인에 대한 채무와 재정상태 등을 묻고 이에 대한 기록을 잘 남겨 놓는다면 어느 정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청구 영수증이나 청구서를 찾으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Dropbox는 모든 결제에 대해 영수증과 청구서를 발행합니다. 직불카드나 신용카드로 결제한 구매 건은 은행 명세서에 DROPBOX*(거래 번호)로 표시됩니다.
연 단위 가입 시, 요금을 결제할 때마다 이메일로 영수증을 보내드립니다. dropbox.com에서 아래 순서에 따라 Dropbox 영수증이나 청구서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Dropbox Plus, Family, Professional 청구서
dropbox.com에서 청구서와 영수증을 볼 수 있습니다.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dropbox.com에 로그인합니다.
- 오른쪽 위에서 아바타(프로필 사진이나 이니셜)를 클릭합니다.
- 설정을 클릭합니다.
- 청구를 클릭합니다.
- 청구서를 보려면 해당 거래 옆의 청구서를 클릭합니다.
- 영수증을 보려면 해당 거래 옆의 영수증을 클릭합니다.
이 목록에 해당 거래가 없다면 신용카드/직불카드 구매를 조회하여 영수증을 찾을 수 있습니다.
참고: Dropbox Family 요금제에서는 패밀리 관리자만 청구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Dropbox for Teams 청구서
관리자 유형에 따라 dropbox.com에서 청구서와 영수증을 볼 수 있습니다.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관리자 계정으로 dropbox.com에 로그인합니다.
- 관리 콘솔을 클릭합니다.
- 청구를 클릭합니다.
- 청구 정보 탭을 클릭합니다.
- 청구서를 보려면 해당 거래 옆의 청구서를 클릭합니다.
- 영수증을 보려면 해당 거래 옆의 영수증을 클릭합니다.
Apple App Store에서 요금제에 가입한 경우
Apple App Store에서 Dropbox를 구매한 경우에는 구매 내역을 보고 영수증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Google Play에서 요금제에 가입한 경우
Google Play에서 Dropbox를 구매한 경우에는 주문 내역을 보고 영수증을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영수증과 청구서 인쇄 방법
Dropbox 팀 계정에서 청구서 액세스 권한이 있는 관리자, Dropbox Family 요금제 관리자, Dropbox Professional 또는 Plus 계정 사용자는 Dropbox 영수증이나 청구서를 인쇄할 수 있습니다.
고객을 먼저 생각하는 KR투자증권
KR투자증권은 고객과 주주의 행복을 위하여
임직원 모두 최선의 노력으로 임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위험고지 및 약관안내
22.(공통)(설정약관)매매거래설정약관
페이지 정보
분류 | 22 |
문서종류 | 공통 |
약관구분 | 매매거래 |







- 매매거래계좌설정약관20220530.pdf (317.6K) 0회 다운로드 | DATE : 2022-05-31 09:46:34
- 이전글 23.(공통)(이용약관)종합거래계좌약관 22.04.29
- 다음글 01.(공통)(이용약관)전자금융거래이용에관한기본약관 19.02.18
KR 투자증권
주요 서비스
KR투자증권 |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나루로57 (여의도동25-12) 신송센터빌딩 14층 | 사업자번호: 110-81-28172 | 대표이사: 이인혁 | Tel:02-2168-7400
Copyright 2018 KR Investment & Securities All rights are reserved.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