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가주문(Market Order)
시장가 주문은 현재의 시장가격으로 매수 또는 매도하는 주문 방법입니다. 즉 플랫폼 상의 매매 버튼을 클릭한 순간의 환율로 주문을 체결시키기 위한 주문 방식입니다.
그러나 시장가 주문은 반드시 트레이더가 설정한 가격에 체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EUR/USD 환율 1.3300에서 매수 버튼을 클릭했다 하더라도 그 주문이 외환 사의 서버에 도착하는 아주 경미한 시간 동안에 환율이 1.3302로 상승해 버린다면 주문이 체결되지 않거나 변동된 환율 1.3302로 체결되어 버리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처럼 실제 주문 진입가격과 실제 주문이 체결되는 가격의 차이를 슬리피지(slippage)라고 하며 이는 트레이더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시장가 범위지정(Market Range) 주문
시장가 주문 시 발생하는 슬리피지 현상을 줄이고자 고안된 주문 형태가 바로 ‘시장가 범위지정(Market Range) 주문’ 입니다. 시장가 범위지정 주문은 쉽게 말해 ‘이 정도 범위 내에서 주문이 체결된다면 괜찮다’고 생각하는 가격의 범위를 미리 설정하여 주문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시장가 범위지정 주문을 통해 허용할 수 있는 슬리피지의 폭을 10핍 이내로 설정해 놓고 EUR/USD 환율 1.3300달러에 매수 주문을 넣는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실제로 슬리피지가 발생하여 환율이 1.3310달러로 변동했을 경우, 이는 허용할 수 있는 범위인 10핍 이내이기 때문에 주문이 체결됩니다. 그러나 만약 환율이 1.3311달러 이상 벌어질 경우에는 주문이 체결되지 않습니다. [※ Market Range 폭을 너무 타이트하게 설정해 놓을 경우(10핍 이하) 시장 상황에 따라 주문이 높은 확률로 체결되지 않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플랫폼들의 기본값(약 10핍) 이상을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반대로, 슬리피지는 트레이더에게 유리한 방향으로도 일어날 수 있습니다. 만약 위와 같은 상황에서 환율이 1.3310달러가 아니라 1.3290달러로 떨어졌다면 트레이더는 10핍 만큼의 이익을 더 얻을 수 있게 됩니다. 이처럼 슬리피지가 트레이더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일어날 경우에는 보통 지정해둔 범위와 상관없이 무조건 해당 가격(슬리피지가 발생한 가격)에 주문이 체결됩니다.
시장가 체결
지정가 주문이란 내가 ‘ 가격 ’ 을 ‘ 지정 ’ 해서 주문을 하는 방식으로 , 개인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 HTS ‘ 주식 주문 ’ 창을 보면 ‘ 보통 ’ 이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 바로 ‘ 지정가 주문 ’ 상태라는 의미입니다 .
만약 현재가가 10,000 원일 경우 , 매수자는 당연히 그보다 싼 가격으로 사고 싶고 , 매도자는 그보다 조금 비싼 가격으로 팔고 싶겠죠 ? 그래서 매수자는 9,990 원이나 9,980 원으로 지정해 주문을 합니다 . 반대로 매도자는 10,050 원이나 10,100 원에 주문을 걸어두겠죠 .
만약 매수자가 지정가를 9,900 원으로 주문했는데 , 현재가가 10,000 원 아래로 내려오지 않고 상승하면 어떻게 될까요 ? 그럼 당연히 한 주도 살 수 없습니다 . 마찬가지로 10,100 원에 지정가 매도 주문을 했는데 주가가 하락하면 이것도 체결이 안 되겠죠 . 이처럼 지정가 주문은 현재가보다 더 싸게 사거나 비싸게 100퍼센트 활용법 팔 수 있지만 , 한 주도 거래가 안 될 수도 있다는 게 단점입니다 .
시장가 주문이란?
‘ 시장가 주문 ’ 은 시장에서 부르는 가격대로 주문을 하는 방식입니다 . 이를테면 현재가가 10,000 원이고 , 매도자들이 10,050 원 , 10,100 원에 매도 주문을 걸어두었다면 , 시장가 주문의 경우 이 가격대로 지불하고 사는 것입니다 .
시장가 매도 주문도 마찬가지입니다 . 주식 매수자가 부르는 가격대로 파는 것이죠 .
사례 : A주식은 오전 9시에 장이 출발할 때 10,000원의 가격으로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지정가 주문만 있고, 시장가 주문은 장 마감 때까지 1주도 없었습니다. 그럼 10,000원으로 시작한 주가는 종가에 얼마가 되어 있을까요?
강의장에서 이런 질문을 하면 ➍ ‘ 알 수 없다 ’ 는 답변이 가장 많이 나옵니다 . 하지만 정답은 ➋ 입니다 . 왜 그럴까요 ?
사실 주가는 지정가로는 움직이지 않습니다 . 즉 지정가 주문 가격으로 체결이 안 되는 것이죠 . 그런데 시장가 주문은 장 마감 때까지 1 주도 없었으므로 , 현재가인 10,000 원이 그대로 그날의 종가가 됩니다 .
이처럼 주가를 움직이는 것은 지정가가 아니라 시장가라는 점을 반드시 기억하세요 .
지정가 주문 수량 보는 법
위 그림처럼 HTS ‘ 현재가 ’ 창의 왼쪽 하단을 보면 가격별로 지정가 주문이 얼마나 들어와 있는지 보입니다 .
빨간색 네모 안에 있는 77,700 원이 키움증권의 현재가이며 , 지정가 100퍼센트 활용법 매수 주문이 214 주 걸려 있네요 . 77,600 원에는 340 주가 걸려 있고요 . 현재가를 기준으로 조금 위쪽을 보면 지정가 매도 주문은 77,800 원에 5 주 , 77,900 100퍼센트 활용법 원에 23 주 걸려 있습니다 .
그러나 주가를 움직이는 것은 지정가 주문이 아닙니다 . 창을 보면 77,800 원과 77,900 원에 지정가 매도주문이 얼마 안 되니 금방 78,000 원으로 상승할 것처럼 보이지만 , 그렇지 않을 경우가 더 많다는 점을 반드시 기억해두세요 .
시장가 체결
처음 주식을 접했을 때 커뮤니티나 카톡방에서 이런저런 용어들이 나오는데
저는 처음에 하나도 못알아 듣겠더라고요 ^^;
그래서 이렇게 조금씩 정리해놓으면 다른분들은 좀 더 쉽게 이해하지 않을까 싶네요~
체결이란 매수 or 100퍼센트 활용법 매도 요청한 주식 주문이 완료된 것을 의미합니다.
미체결이란 매수 or 매도 요청한 주식 주문이 가격 변동 등의 이유로 완료되지 못한 것을 의미합니다.
미체결로 유지되던 주문은 그날 시장이 끝나면 자동으로 주문이 최소됩니다.
시가? 종가?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시가란 '시초가' 이며, 주식 장은 오전9시에 시작되는데 시작 될 때 형성되는 가격입니다.
종가란 장이 끝나는 오후 3시 30분에 종료되었을 때 형성되는 가격입니다.
+ 여기서 잠깐 :D!
한국의 증시 거래시간이 어떻게 되시는지 알고 계신가요?
아래 표를 참고하세요! 2018년 기준 휴장일도 나와있습니다
3. 현재가 · 지정가 · 시장가
거래할 때 주문 창에서 이런 단어들 보신적 있지 않으신가요?
현재가란 매수나 매도에 따라가격이 변동하는 현재의 가격을 뜻해요
지정가란 주식을 매매할 때 가격을 직접 지정해서 하는 주문가이고요
시장가란 주식을 매매할 때 지정가로 하지 않고 주문이 바로 체결 될 수 있는 가격입니다.
고가는 뭐고, 저가는 뭐야? 하실분들 계시겠죠?
고가는 장 중 최고 가격을 뜻하고, 저가는 반대로 장 중 최저 가격을 뜻합니다!
은혜스런 찬양, 기도, 설교를 원하시면
유튜브 을 이용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미션스쿨 바로가기
우리 모두는 오대양 육대주 선교사입니다.여러분의 구독은 선교사 교육과 후원에 많은 도움이 됩니다. Subscriptions are helpful for missionary education and support.
시장가 체결
보통, 시장가, 조건부 지정가 주문하기 - HTS를 통한 주문 방법과 매매하기
Posted on November 29, 2016
이 글에서는 주식 매매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단계인 현금 매매를 기준으로 매수/매도 주문을 내기 위해 필요한 용어와 방법에 대해 기술됩니다. (신용거래와 관련해서는 별도의 글 "신용거래 방법"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S에서는 로그인할 때 뿐만 아니라, 주문, 잔고 확인 등에 있어서도 한번 더 비밀번호 확인절차가 진행됩니다. (단, 동일 메뉴에서는 주문시마다 비밀번호를 입력할 필요는 없으며, 최초 한 번만 입력하면 됩니다.) 비밀번호를 입력 후, 거래하고자 하는 종목을 돋보기 버튼을 눌러 선택했다면 주문을 위한 선행 절차를 마쳤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후, 주식을 사고자 하는 경우에는 "매수" 탭을 선택하고, 보유 주식을 팔고자 하는 경우에는 "매도" 탭을 눌러 주문 영역을 확정합니다. 그 다음 '구분' 칸에서 주문 방식을 선택 후 가격과 수량을 입력한 뒤, '매수' 버튼을 누르면 주문이 접수되게 됩니다.
보통 주문은 주문을 내면서 매매하고자 하는 종목의 매매가 (호가)와 수량을 지정하는 방식입니다. 다시 말해 'KT&G 종목 50주를 1주 당 8만원에 사겠다'는 식입니다. 보통 주문이야말로, "3. 매매의 개념과 결제"에서 언급되었던 바와 같이, 특정 주문에 대해 거래를 성사시킬 수 있는 상대 주문이 존재해야만 일치하는 물량만큼 거래가 체결될 수 있습니다.
앞선 KT&G 매수 주문의 예를 들어, KT&G 매도 주문 수량이 50주 이상 존재해야하며, 해당 주문의 매도호가가 8만원이어야 50종목에 대한 매수 주문이 모두 체결될 수 있는 것입니다. 한편 매수 희망자가 낸 주문 가격에 매도호가가 부합하나 매도 물량이 부족한 경우에는, 존재하는 물량 만큼만 체결되고 남은 매수 주문 물량은 장 마감 시점까지 상대 주문이 나오는 만큼 체결됩니다. 또는 그렇지 않을 경우 남은 주문 물량은 장 마감 시점에 자동취소됩니다.
보통 주문은 시장의 움직임이 투자자의 예상과 반대로 진행될 경우 체결이 안되어 매매 시점을 놓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는 반면, 투자자 입장에서 '최소한 이 가격은 되어야 해당 종목을 매수하거나 매도하겠다'는 목적일 때 효과적으로 활용해 볼 수 있는 방식입니다.
시장가 주문 또한 투자자들이 많이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주식에 입문한지 얼마 안된 초보자나, 매매 타이밍을 중시하는 투자자의 경우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매매하고자 하는 종목의 매매 수량은 지정하지만 매매가 (호가)는 시장에 나온 주문들을 바탕으로 형성되는 가격에 맞게 체결되도록 하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구분' 칸에서 시장가를 선택하면 매매가를 정하는 '가격'탭이 비활성화되게 됩니다.
시장가 주문은 시장에서 형성되는 가격을 기준으로 매매하겠다는 의미인 만큼, 즉시 (지정가 주문에 앞서) 거래가 체결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KT&G 주식 매도 주문이 8만 2백원 (매도 2호가)에 50주, 8만 1백원 (매도 100퍼센트 활용법 2호가)에 50주가 나와있고, 현재가에 가장 가까운 매수 호가 (매수 1호가)는 8만원에 머물고 있을 경우, KT&G 종목을 매수하고자 하는 투자자가 100주 매수 주문을 시장가로 냈다면 그 즉시 8만 2백원에 50주, 8만 1백원에 50주를 매수하게 되는 것입니다.
상대 주문 물량만 존재한다면 그 즉시, 다른 주문에 우선하여 매매가 체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시장가 주문 시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바로 주문을 낸 매도/매수 수량이 모두 체결될 때까지 호가를 하락/상승시키며 체결된다는 점 입니다. 특히 이러한 위험은 대규모 물량을 한번에 시장가로 매매하고자 할 때 발생하게 되는데요, 이러한 위험요소를 최소화시키고 보다 안정적인 매매를 위해서는 주문탭에 함께 표시되는 (또는 현재가 창에 표시되는) 호가창을 유심히 살피며 본인의 주문 수량에 상응하는 상대편 주문 물량을 살펴 시장가 주문을 낼 필요가 있습니다. (예를 들어, 현재가 8만원인 종목에 대해 매수를 할 경우, 호가 창의 상대편 매도구간 - 8만 1백원, 8만 2백원 - 의 물량이 일시적으로 심하게 비어있지는 않는지 확인 후 주문하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 주문 시점에는 보통 주문 형태로 희망 매매 물량과 매매가 (호가)를 지정하여 시장에 주문을 내놓게 됩니다. 이후 주문에 부합하는 상대 주문이 있을 경우에는 해당 시점에 거래가 체결되며, 반대로 장 마감 시점까지 매매가 체결이 되지 않을 경우 장 마감 10분 전 (오후 2시 50분) 시장가 주문으로 바뀌어 해당일 종가로 체결되게 되는 것입니다.
0 개 댓글